책/하루10분 인문학(30)
-
[7장] 인간은 선하다고 생각하는 것만을 추구할까?
착하게 살아야 된다고 모두가 듣고 자랐지만 착하게만은 살아오지 않았을거임 그럼 인간은 선보다 이익을 추구하며 사는 존재에 가까운걸까? 인간은 선하다고 생각하는 것만을 추구하며 살아갈까? ㅇ맹자(B.C. 372 ~ B.C. 289) 인간의 본성에 대해 답하고자 함. 맹자의 책에 따르면 당시에 인간 본성에 관한 세 가지 학설이 존재했다고 함. 1) 인간의 본성은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다(성무선악설) - 대표 : 고자(성무선악설) - 인간의 본성은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다 - 인간의 본성은 흐르는 물과 같아서 이끄는 방향으로 변해간다 2) 인간의 본성은 선해질 수도/악해질 수도 있다 ㅇ성선설(맹자) - 인간 본성에는 선의 요소가 있다 - 동시에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은 요소가 함께 존재한다 - 즉, 조절을 잘하면..
2022.01.24 -
[6장] 죽음은 인간에게서 일체의 존재 의미를 박탈해 갈까?
ㅇ스토아학파(Stoicism) - 로마제국 시기에 유행한 철학 집단 - 로마 16대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121~180)도 스토아 철학자래나 뭐래나 - 자기들 자주 모이던 장소이름 '스토아 포이킬레'에서 따왔다고함 - 금욕을 통한 행복 추구 ㅇ스토아학파 특징 윤리학을 실천의 영역으로 가져오고자 함. 이를 위해 근본적 요구 2가지를 제시했고, 두 가지 요구를 완전히 실천한 자를 '현자' 라고 부름 1) 행위 생활에 관한 권고 - 현실주의자로 과감하게 일하고 결단에 따라 행위하라 - 괴로움을 참고 쾌락을 버려라. 일관성을 지켜라 - 공공생활에의 참여로 인간이 사회적 존재라는 것을 기억하라 (덕이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고독 속에 처박혀있지 마라) 2) 아파테이아(Apatheia)에 대한 권고 - 정념이..
2022.01.23 -
[5장] 나는 육체를 갖고 있는 것일까, 육체인 것일까?
유튜브 요리채널 보고 따라하려고하면 칼질부터 잘 안되는 경험같은게 있지 않나요? '이게 내 몸이야, 남의 몸이야' 한 적이 있지 않나요? 세상에 보여지는 나는 분명 '육체'인데 이를 움직이는 것은 나의 '정신'인 것 같기도 하고 정신을 제어하는건 내 육체인 것 같기도 합니다 ㅇ르네 데카르트(1596~1650) - 17세기 프랑스 철학자. 서양 근대철학의 출발점. 합리주의 철학의 아버지 - 데카르트의 대표작 ≪성찰≫ (1640)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것이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함 - 데카르트적 회의 기존 신념의 틀을 모두 제거하는 급진적 회의 방식 감각을 비롯한 추상적 개념(2+2=4 같은)까지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취급 그렇다면 무엇이 '단연코 의심할 수 없는 지식' 인가 - 단 하나의 참된 명제 :..
2022.01.20 -
[4장] 사랑이 의무일 수 있을까?
위 주제를 사전적 정의에 맞게 풀어쓰면 다음과 같다 어떤 사람이나 존재를 아끼고 귀중히 여기는 행위가 강제력 있는 행위로 규정/이해될 수 있을까? - 사랑 : 어떤 사람이나 존재를 몹시 아끼고 귀중히 여기는 마음 - 의무 : 도덕적으로 강제력이 있는 규범에 근거하여 인간의 의지나 행위에 부과되는 구속 ㅇ장폴 사르트르 & 시몬 드 보부아르 (20세기 초) - 새로운 사랑의 형태를 실험한 계약 결혼 - 사랑은 각자의 주체성을 온전히 받아들이는 관계로 정의 - 둘의 결혼조건 1) 서로 사랑하고 관계를 지키는 동시에 다른 사람과 사랑에 빠지는 것을 허락한다 2) 상대에게 거짓말하지 않으며 어떤 것도 숨기지 않는다 - 계약 결혼 기간동안 딴 사람도 만나고 깨질뻔했지만 결국 50년 넘게 지속(사르트르가 세상을 떠날..
2022.01.18 -
[2장] 꿈은 필요할까?
ㅇ꿈 = 실현하고 싶은 희망이나 이상 개인의 의지와 사회의 구조가 모두 충족되어야 실현 가능 - 사회적 측면 : 사회가 자신의 욕망 실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할 때 사회가 부여한 의무와 역할을 다 함 - 개인적 측면 : 꿈을 '직업'과 같은 의미로 생각해왔으나(의사, 변호사, 교수, ... 그나마도 소수의 전문직) 실현하고싶은 '희망' 이나 '이상' 이란 의미에서 '직업' != '꿈' ㅇ프리드리히 니체(1844~1900) '그대의 꿈과 희망을 버리지 마라! 고귀한 사람은 모두에게 방해가 된다는 것을 알라. ... 고귀한 사람은 덕을 창조하려고 한다 ... 그대 영혼의 영웅을 외면하지 마라. 그대 안의 가장 높은 소망을 거룩히 지켜라!' > 꿈과 희망을 '영혼의 영웅'이라고 칭하며 더 나은 삶을 위해, 자..
2022.01.16 -
[1장] 우리는 행복해지기 위해 사는 것일까?
에피쿠로스(BC341 ~ BC270) ㅇ쾌락주의 - 문화나 예술을 즐기는 것처럼 정신적 욕구를 충족해주고 장기적이며 지속성 있는 쾌락을 찾아가야 한다 - 쾌락을 얻기위해선 걱정과 위험을 가져올지도 모르는 일들을 피해야 함 ㅇ아타락시아 - 쾌락 추구를 통한 고통이 없는 상태, 마음의 동요에서 해방되는 상태 -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가장 참된 행복 ㅇ우리는 행복해지기 위해 사는 것일까? - 행복을 무엇으로 규정할 것인지 - 행복을 위해 살아갈 필요가 있다고 느끼는지 - 행복을 성취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나 행동이 필요한지
2022.01.15